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Print ISSN 1598-916X
•Online ISSN 2671-6070

논문검색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1 (2018)
pp.99~129

- 유아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통합보육기관의 음악치료에 대한 현상학적 질적 연구 -

장혜원

(강남대학교)

이 연구는 통합보육기관의 음악치료에 참여한 유아특수교사의 관점에서 장애유아가 경험하는 음악치료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현상학적 질적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통합보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치료에 참여한 6명의 유아특수교사이다. 연구 자료는 심층적 면담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지속적 비교방법, 선택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26개의 주제, 12개의 주제모음,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통합보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치료는 장애유아가 흥미를 보이는 치료, 장애유아의 자발적 참여가 가능한 치료, 장애유아의 잠재력을 볼 수 있는 치료, 장애유아의 발달을 유도하는 치료, 치료종결이 아쉬운 치료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통합보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음악치료는 장애유아에게 아동 중심적 치료접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는 통합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음악치료사가 준비되어야 할 음악적, 임상적 기술이 무엇인지를 제시하고 통합보육기관의 관련서비스로서 음악치료가 실시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f Experienc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Music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Jang, Hae-Won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on the experience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music therapy of the meaning of music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ix sele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articipating in music therapy classe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children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For the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had in-depth interview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data was then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 method of Strauss and Corbin(1990)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of Jung and Kim(2014).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study 26 themes, 12 theme clusters, 5 categories based on interview were selected. The currant music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is child-centered therap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hows interests in music therapy. It would make them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music therapy activities, show potential abilities and facilitate improvement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don’t want the termination of music therapy services.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to suggested methods of musical and clinical skills that music therapist who are in child-centered therapy in inclusive edu-care settings should obtain. Also, the study have shown the potential of music therapy as a related service of the inclusive edu-care settings.

다운로드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