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로그인

즐겨찾기추가
•Print ISSN 1598-916X
•Online ISSN 2671-6070

논문검색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20 no.2 (2018)
pp.29~51

-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집단 음악치료 효과 메타분석 -

장연희

(로뎀나무아동청소년발달센터 음악치료사)

박은경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집단 음악치료의 연구 효과를 종합적으로 제시 하여 전체 효과크기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20년간(1998년~2017년) 발표된 국내 학 위논문과 학술지 총 14편의 논문에서 총 33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집단 음악치료는 효과적이었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분석한 전 체 평균 효과크기는 .761으로 중간정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별 평균 효과크기 는 자폐성장애아동, 발달장애아동, 지적장애아동의 순서로 효과크기를 보였고, 연구 대상의 연 령별에서는 청소년, 미취학아동, 학령기아동 순서로 효과크기를 보였다. 셋째, 중재 방법별 평균 효과크기는 음악과 동작, 재창조 연주, 노래 부르기, 즉흥 연주의 순서로 모두 중간정도 효과크 기로 나타났다. 넷째, 중재 목적별 평균 효과크기는 사회 영역, 언어 영역, 정서 영역의 순서로 모두 중간정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다섯째, 집단 음악치료의 회기는 1회기~10회기, 11회 기~20회기에서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집단 음악치료 연구의 방향성 제시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미가 있다.

A Meta-Analysis of Effects on Group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ang, Yeonhee

Park, Eunk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present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determine the total effect size. To that end, we calculated 33 effect sizes in 14 studies consisting of domestic these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recent 20 years (1998~2017).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music therapy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effective. The total mean effect size analyzed with a random effect model turned out to be a medium effect size of .761. Second, the mean effect size by object group was the largest in children with autistic disabilities, followed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ean effect size by age group was the largest in adolescents, followed by preschool children, and school-age children. Third, the mean effect size by intervention method was the largest in music and movement, followed by re-creative playing, singing, and improvisation, and all the effect sizes were medium level. Fourth, the mean effect size by intervention purpose was the largest in social area, followed by language area and emotion area, and all the effect sizes were medium level. Fifth, by the number of sessions, the group music therapy showed an effect size in 1~10 sessions and 11~20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the presentation of future directions and the program development of group music therapy resear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다운로드 리스트